Born in 1963 in Singapore
Lives and works in Singapore
Paint, canvas, frame, orientation and dimension — all are variables in Jane Lee’s hands. Through assiduous processes of layering, mixing, winding, wrapping, kneading, daubing, and other acts of physical transformation, the renowned artist redefines paint and painting to produce dynamic, bold forms. Operating in a post-colonial Southeast Asian context, Lee re-examines the significance of Western painting practices, while asserting her own culture. Pushing the boundaries of the medium, her work echoes the breakdown of cultural barriers in the era of globalization, and affirms the universality of contemporary art.
Lee first gained critical acclaim when her monumental work Raw Canvas was showcased at the Singapore Biennale, curated by Fumio Nanjo, in 2008. Her work was then featured at Collectors’ Stage at the Singapore Art Museum in 2011, and in the Southeast Asia Platform, an exhibition of cutting-edge work from across the region at Art Stage Singapore in 2014. The following year, Lee’s work was selected for Prudential Singapore Eye, one of the largest surveys of Singapore’s contemporary art to date, held at the ArtScience Museum, and Medium at Large, a year-long exhibition at the Singapore Art Museum, where her large-scale installation Status (2009) was acquired for the museum’s permanent collection. In 2015, Lee also participated in Frontiers Reimagined, at the 56th Venice Biennale. In 2018, Raw Canvas was prominently hung at the National Gallery Singapore.
Jane Lee has a bachelor of fine arts degree and a diploma in fashion from LASALLE College of the Arts in Singapore. Lee has participated in numerous art fairs and exhibitions across the globe. Notable exhibitions include Lila: Unending Play by Jane Lee, Singapore Art Museum (2023); Jane Lee: Red States, Hong Kong Arts Centre (2018); Meld, a solo Sundaram Tagore Gallery presentation, Art Basel Hong Kong (2017); and Jane Lee: Freely, Freely, STPI, Singapore (2016), which followed a 2015 residency.
(b. 1963-)싱가포르에서 태어나 현재 싱가포르에서 일하며 살고 있습니다.
안료, 캔버스, 액자, 방향, 차원 — Jane Lee의 손에서 창작의 변수 요소로 완전화됩니다. 겹겹이 쌓고, 섞고, 감고, 포장하고, 주무르고, 바르는 등의 물리적 상태를 전환하는 노동 과정을 통해, 그녀는 안료와 그림을 재정의하고, 에너지가 넘치고 대담한 예술 형식을 창작하였습니다. 그녀의 창작은 더 이상 “그림”을 이미지 재현의 논리로 따르지 않고, 그림을 물리적, 공간, 신체 및 시간과 상호작용하는 동적 사건으로 전환하였습니다. 포스트 식민지 시대의 동남아시아에서 자란 Jane Lee는 서양 회화의 중요성을 재조명하면서 자신의 문화를 확립하였습니다. 그녀의 창작은 매체의 한계를 돌파하고, 세계화 시대의 문화적 경계 분해를 반영하며, 현대 예술의 보편성을 검증합니다.
작품에서 안료는 능동적인 물질이 되었습니다. 그것은 더 이상 단순히 색상의 운반체가 아니라 캔버스에 침투하고 압박하며 캔버스 자체 구조를 밀어낼 수 있습니다. 캔버스도 더 이상 이미지를 수동적으로 운반하는 평면이 아니라, 수축, 붕괴, 매달리는 유기체로, 안료의 유동과 압박에 대응합니다. 안료를 사용하여 캔버스를 “형성”하는 제작 방식은 기존의 시각적 경험을 더 공간적이고 질감 있는 존재로 전환시킵니다. 작품은 종종 회화와 조각 사이에 있으며, Jane Lee는 회화 매체의 경계뿐만 아니라 “작품”과 “관람자” 간의 관계를 재정의하는 데 도전하고 있습니다.
대형 설치 작품 《Raw Canvas》는 2008년 난죠 후미오가 기획한 싱가포르 비엔날레에서 처음 전시되어 많은 호평을 받았습니다. 2011년 싱가포르 미술관의 “티베트 컬렉션” 전시와 2014년 싱가포르 예술 박람회의 “동남아의 새로운 예술 플랫폼”에 초청받아 참가하였습니다. 2015년 작품은 싱가포르 대형 현대미술전 “프루덴셜 현대미술상” 심사팀의 선정을 받아 예술 과학 박물관에 전시되었습니다. 동시에 싱가포르 미술관의 “미술 기법 널리 보기” (Medium at Large) 전시에서 전시되었으며, 전시 기간은 1년에 달하였습니다. 대형 설치 작품 “Status” (2009)는 박물관에서 영구 소장되었습니다. 같은 해 제56회 베네치아 국제 예술 비엔날레의 공식 평행 전시인 “변경 다시 상상하기” (Frontiers Reimagined)에 참여하였습니다. 2018년 “Raw Canvas”는 싱가포르 국립 미술관에 영구 전시되었습니다. Jane Lee 는 “빛의 수다” (TKG+, 타이페이, 2025), “Lila: 끝없는 게임” (싱가포르 미술관, 2023), “붉은 상태” (홍콩 아트센터, 홍콩, 2018) 등 중요한 개인전을 개최한 적이 있습니다.